여주는 우리나라 도자기역사와 맥을 같이해온 대표적인 도자기 고장이다. 여주 중암리 가마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의 고려시대 가마터가 발견된 것만으로도 여주의 도자기역사는 깊다.
이러한 도자기역사는 여주 문화를 이끌어온 중심이었고 그 역사를 통해 생활상과 문화, 산업의 흐름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도자기 역사와 변화를 가늠할 수 있다.
이러한 여주도자기 역사를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책자가 발간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여주시와 여주세종문화재단이 펴낸 ‘여주 도자기 역사문화 학술연구집’은 총 2권으로 구성돼 있다.
학술집 1권에는 고려시대 여주를 포함한 경기지역 가마터 현황과 특징 등 자기 요업에 대한 도자기 제작 시설 관련 용어와 개념에서 조선으로 이어오면 펼쳐지는 백자 발달 배경과 현황, 제작 양상,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여주도자산업의 전개와 영향력에 이르기까지 여주도자기의 시작부터 발전과정까지 총망라돼 있다.
학술집 2권에는 여주의 대표적 축제로까지 발전한 도자기축제를 중심으로 여주도자 30년을 돌아보고 연대에 따라 특색 있는 행사와 명장과 도자기 장인 등 여주문화의 맥으로 이어온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담아냈다.
또한 생활도자기로서 강점을 가진 여주도자기 발전을 이끈 도자 디자인에 대한 언급은 물론 대량생산을 주도하는데 필요한 도자기 원료와 종류에서 품질관리, 공정불량과 해결방안 등의 소지조합 공정기술과 함께 제형, 성형, 초벌구이, 시유, 전사지 부착, 소성 등에 이르기까지 품질 기준과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여주 도자산업의 유형과 현황은 물론 그에 대한 사례, 도예과를 두고 도자산업 육성과 지원에 힘쓰는 여주시의 정책에서 도자산업의 동향, 특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과 그에 대한 정책 건의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특히 이번 학술집 발간을 위한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고려시대의 여주 가마터 약 25여 개소를 조사하고 백자를 생산했던 가마터를 6개소로 파악했다.
백자를 집중적으로 생산하던 곳이 극소수였던 당시 상황을 돌아봤을 때 여주의 백자 생산 가마터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여주지역 백자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자기 생산 공정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공정별로 나눠 정리하고 도자 디자인,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적 어려움과 수년 동안 도자기를 생업으로 한 작가들도 지속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까지 도출함으로서 도자산업 생산 현황과 경쟁력을 재조명했다는 점에도 큰 의의를 갖는다.
기사작성 백정우 국장 (2959@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