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이란 말을 한번 언급하고 싶어졌습니다.
사회문화적인 점도 있을 법한데 그건 잘 모르겠고 의학적인 부분에 대해서 잠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통상 아이가 태어나고 100일이 되면 ‘백설기’라는 떡을 만들어 친척 간에, 이웃 간에 서로 기쁨을 나누곤 하지요.
‘100일’ 동안 죽지 않고 버텨줘서 축하해 준다는 의미도 있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이는 과거의 사회문화적인 삶을 아주 열등하게 표현하고 있는 말로 동의하고 싶지 않습니다. 옛날 선조들의 의식행사(백일축하)가 그렇게 치졸하지 않았으며 더욱 격조 있고 수준 높은 그 무언가가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한의사로서 산모 진료를 할 때 아주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우리 나라의 여인네들은 대부분 산후풍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후에 몸조리를 잘못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산후 허약한 틈을 타서 바람을 맞아 생기는 병입니다.
물론, 서양의학에선 이런 의견에 대해서 묵살하곤 하지만 현실적으로 존재하니 이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런지는 퍽이나 난감하더군요. 바람을 맞는다 함은 결국 우리가 걸어 다니거나 뛰면 바람이 우리를 때리는 이치와 같아서 대기권에서는 아마 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공기 중을 우리는 헤엄친다고 보면 되겠지요. 이렇게 산후(피를 쏟고 기운을 쓰고 난 후) 허약한 틈을 타고 바람을 맞으면 이런 병이 옵니다. 경험적으로 남아는 4주 정도 여자 아이는 8주정도의 ‘절대 안정’이란 기간이 필요하고 그후 ‘100일’전까진 가벼운 운동(집안이나 실내에서) 을 하고 , ‘100일’이 지나면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기간이라고 이해하면 백일의 의미가 비로소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백일’이라 함은 여성의 몸이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시점으로 모자보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숫자입니다. 우리 선조들은 이렇게 숫자 속에 의미를 숨겨두는 아주 차원 높은 문화의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성의 권위가 떨어지면서(봉건왕조와 식민지시대이후) 아이 낳고 바로 몸을 움직여 평생 동안 아픔을 간직하고 그것을 운명으로 여기며 살아왔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때와 많이 달라졌으나 아직도 여성의 몸이 제도적으로 문화적으로 대접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100일’은 여성에게 다시 사회적으로 복귀되는 시점으로 축하받아야 하며 모성의 위대한 점이기도 합니다. 부성에 비해 모성은 대단히 섬세하고 민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호받는 것이 역차별이 아니고 출발점이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지요.
요즘은 아기의 울음소리를 좀처럼 듣기 힘듭니다. 간혹 걷다가 만삭의 산모를 보노라면 매우 반갑고 예뻐 보이는 것은 왜일까요 ?
출산율이 저조하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순간입니다.
저 출산문제에 대한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논의의 선상에 올려 갑론을박해야만 합니다. 그 보다도 먼저 임신과 관련된 문화적인 가치 정립과 아울러 모자보건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기도 하구요.
역사가 오래되고 전통이 보존된 나라는 오래된 과거의 지혜를 현대적으로 응용할만한 훌륭한 유산들이 많습니다. 정책적으로 입안되어지고 국민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쉬운 장점도 있습니다.
출산하기 좋은 나라 ! 여성이 살기 좋은 나라의 시작은 문화에서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