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경자 Articles 12
글쓴이는 구리시 재선의원으로, 구리시의 7대 후반기 의장 역임을 하였고, 서울여대 박사 수료(사회복지학), 경복대학교 산업체 외래교수(복지행정학과), 중앙대 대학원(의회학) 석사과정 중이며, (사)한국어울림슐런협회 부회장 & 구리남양주 지부장, 윤곡장학회 장학기금 코디네이터와 한국여성의정회 등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K-컬쳐 열기로 한국어가 UN 공식 언어의 꿈이 실현 되다” ... Read more
기본소득 관련 나의 생각 (2021.09.16.) 요즘 대권 경선관련 민주당의 유력후보자인 이재명 도지사가 내놓은 기본소득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자당뿐만 아니라 야당쪽에서도 본인들도 유사한 정책을 내놓으면서 내 정책은 좋은거고, 기본소득은 문제가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번 대선 예선전의 경쟁을 보면서 정책은 완벽하면 더없이 좋겠지... Read more
– 저출산 극복을 위해 사회 보장예산을 더 편성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저출산 예산으로 2019년 정부와 지자체가 사용한 예산이 약36조의 예산을 썼다고 한다. 이 예산을 당해 출산 예산으로 보면 출생 아이 한 명당 1억 2천만원의 수준이다. 우리가 사용했다고 하는 36조의 저출산 예산은 사실 돌봄지원과 돌봄 환경개선에 사용 되어... Read more
–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는 모두가 살기 좋은 도시이다– 우리는 얼마전 안타까운 뉴스를 접했다. 바로 초등학생 형제가 끼니를 때우기 위해 라면을 끓이다 화재로 몸에 3도, 1도의 화상을 입고 아직도 중환자실에서 깨어나고 있지 못하다는 기사이다. 한 부모 가정인 이 아이들은 가정 폭력으로 이혼한 엄마의 우울증으로 양육과... Read more
– 태풍 ·홍수는 예정된 재앙이 아니었을까? – 해마다 장마는 늘 있어 온일이라고 치부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올해는 집중적인 수해 피해가 더욱 큰 듯하다. 이러한 원인은 바로 기후변화 탓이라고 한다. 2050년을 기점으로 많은 미래 보고서들이 보고되고 있다. 누군가는 “자연과 대기는 우리의 것이 아니라 미래 세대들... Read more
코로나 위기와 우리가 생활 속에서 바꿔야 하는 작은 실천은? 지속가능한 자연보호 ! 어느새 전세계 코로나-19 감염자가 2000만명이 넘었다고 한다. 우리는 다양한 감염병에 이어 중국과 일본을 거쳐 우리 나라도 장맛비로 심한 물폭탄에 전국에서 안타까운 죽음 소식과 보금자리를 잃고 허망해 하는 많은 이들의 모습이 언론에 보여지고 있다. 몇... Read more
– 코로나 바이러스와 에누바이러스 – 코로나 바이러스는 아마도 세 살 아이도 감염병이라고 알고 있을 것이다. 코로나의 증상으로는 기침, 오한, 발열, 호흡곤란, 두통, 근육통, 인후통, 후각. 미각소실 등의 육체적 통증을 동반한다. 코로나는 우리나라 국민 300여명의 사망자를 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뿐만... Read more
“나의 어울림 슐런 사랑 “ 2년 전 우연히 알게 된 네델란드의 전통 스포츠인 ‘슐런(Sjoelen)’ 네델란드에서는 ‘셔플보드 (Shuffle Board)로 불려진다. 이 종목은 우리나라에는 도입된 지 5~6년 정도로 뉴스포츠로 알려져 있다. 슐런은 프랑스 루이 14세 때 만들어진 바가텔이라는 일종의 핀볼 게임이 네... Read more
코로나가 바꾼 우리의 일상 변화는 어떤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가? 현재 2020년도는 “3차 세계 대전” 중에 있는 것 같다.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보이지 않는 적과 맞서 전세계가 아군이 되어 대적하고 있지만 당최 승리는커녕 종전을 예측할 수 없는 듯하다. 미국이 9.11 테러로 사망한 숫자가 2,977명인데 반해 7월1... Read more
작은 생수병의 분리수거를 통한 보람 만들기 물은 우리 인간의 생명줄이다. 그런 물을 담는 패트병이 자원이 아닌 쓰레기가 되어 역으로 지구상의 동물을 위협하고, 인간이 살아가는 현장을 오염시키고 있다. 그동안 우리가 소홀히 버린 플라스틱, 패트병 등이 자원이 아닌 쓰레기가 되는 안타까운 사실을 주변에 알려 드리고, 함께 쓰레기도 줄이고 자원... Read more